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

장애인 교통 할인 혜택(기차, 대중교통, 비행기, 고속도로) 장애인 복지법에 따라 등록한 장애인이라면 장애인 등록증이나 복지카드를 제시하면, 대중교통, 비행기, 선박, 고속도로를 이용할 때 할인 또는 면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떤 시설을 이용할 때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공교통 시설 요금 할인 장애인은 다음의 공공 교통시설을 이용할 때 감면율에 따라 이용 요금을 감면받을 수 있으며, 중증 장애인의 경우에는 동행인 1명도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교통 요금을 감면받기 위해서는 장애인등록증이나 복지카드를 시설의 관리자에게 보여주어야 합니다. 시설의 종류 감면율 철도 무궁화호·통근열차 50% 새마을호 중증 장애인 : 50% 경증 장애인 : 30%(토요일과 공휴일을 제외한 주중에만 적용) 도시철도(수도권 지역에서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2022. 10. 10.
장애인 공공요금 할인 혜택(전기, 도시가스) 장애인 복지법에 따른 장애인이라면 매달 지급받는 장애인 연금과 장애 수당 외에도 다양한 요금 감면 혜택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공공 요금 감면 혜택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공공시설 요금 감면 장애인은 아래의 공공시설을 이용할 때 감면율에 따른 이용요금 감면을 받을 수 있으며, 중증장애인의 경우에는 동행인 1명도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공공시설의 이용 요금을 감면받으려면 장애인 등록증 또는 복지카드를 시설의 관리자에게 보여주어야 합니다. 공공시설의 종류 감면율 국공립 공연장 50% 공공체육시설(국가 등이 설치·관리·운영하는 시설 중 생활체육관·수영장·테니스장·스키장만 해당) 50% 고궁 전액 면제 능원 전액 면제 국공립 박물관 및 미술관 전액 면제 국공립 공원 전액 면제 2. 전기.. 2022. 10. 7.
장애인 소득세, 상속세, 증여세 감면 및 면제 혜택 '장애인 복지법'에 따른 장애인으로 등록하면 생활 안정을 위한 복지 혜택이 제공됩니다. 지난번에는 이와 관련하여 장애인 연금, 장애수당에 대해 포스팅했습니다. 오늘은 재산과 관련된 세금 감면 혜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득세 감면 1. 장애인에 대한 소득세 기본공제 소득세를 납부하는 사람의 부양가족으로 아래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장애인 등록을 한 장애인이 있으면 그 장애인에 해당하는 사람의 수에 1명당 연 150만 원을 곱하여 계산한 금액이 거주자의 해당 과세기간의 종합소득금액에서 추가로 공제됩니다. 인적 요건(부양가족의 범위) * 거주자의 직계 존속 * 거주자의 직계 비속(거주자의 배우자가 재혼한 경우 그 배우자가 전의 배우자와의 혼인 중 출산한 사람도 포함) * 거주자의 동거입양자(거주자와.. 2022. 9. 27.
장애인 자동차 관련 세금 면제 및 감면 혜택 중증장애인이 사용하기 위해 승용자동차를 구입할 때는 개별소비세 및 취득세 면제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오늘은 자동차 구입 시 장애인 세금 혜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별소비세 면제 '장애인 복지법'에 따른 중증 장애인이 사용하기 위해 구입하는 승용자동차는 500만원 한도로 개별소비세(장애인을 위한 특수장비 설치비용을 과세표준에서 제외하고 산출한 금액)가 면제됩니다. * 장애인 승용자동차 개별소비세 면세 대상 장애인 승용자동차 개별소비세 면세는 장애인 1명당 1대에 한정됩니다. 하지만 노후차량의 대체 또는 폐차로 인하여 새로 승용차를 취득한 경우, 종전의 승용차를 새로운 승용차 취득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처분하고 같은 기간 내에 장애인 전용승용차 처분 사실신고서를 관할 세무서장에게 제출해야 .. 2022. 9. 26.